2024 AWP

2024 AWP

제6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행  사 명 : 제6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주       제 : 안보리 결의 1325 25주년을 앞두고 – 유엔 임무단 및 국가간 교훈 공유

일       자 : 2024년 12월 10일(화)

장       소 : 롯데호텔 서울

주       최 : 외교부

공식언어 : 한국어, 영어

개회사

강인선  외교부 제2차관

기조연설 (*사전녹화영상)

줄리 비숍  유엔 사무총장 미얀마 특사
시마 사미 바후스  유엔여성기구(UN Women) 총재 *
잉그리드 예르드  노르웨이군 국방참모장(前 UNFICYP 사령관) *

축사 (*사전녹화영상)

바트뭉흐 바트체첵  몽골 외교부 장관 *
재클린 오닐  캐나다 여성·평화·안보대사 *
올로프 스쿡  EU 인권특별대표 *
볼커 튀르크  유엔 인권최고대표 *
장-피에르 라크루아  유엔평화활동국(UNDPO) 사무차장 *

패널토론 1

이 세션은 평화 및 정치과정(peace and political processes)에서 여성의 의미 있는 참여 확대와 유엔 평화유지활동에서의 젠더 통합 등을 포함한 WPS 의제 이행에 참여해온 유엔 임무단 지도자, 젠더 자문관, 평화유지요원들이 함께 모인 자리입니다. 패널 참여자들은 평화유지활동의 전환기 상황을 포함해, 현장에서 WPS 이행을 강화하기 위한 유망 사례, 기존 과제, 주요 요인들을 공유했습니다. 또한 유엔 안보리 결의 1325 채택 25주년을 앞두고 평화유지활동에서 강력한 WPS 언어의 중요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했습니다.

좌장

루이스 올슨  PRIO 국제규범·정치·사회 연구책임자

패널

캐서린 안델라  유엔평화활동국(UNDPO) 젠더부서 책임자

가스미 니시가야  유엔남수단임무단(UNMISS) 선임 젠더자문관

아그베코 코피 소드지노우  중앙아프리카임무단(MINUSCA) 젠더담당관

세실리아 에르주아  민주콩고임무단(MONUSCO) 젠더자문관

이성연  유엔골란고원임무단(UNDOF) 연락장교

패널토론 2

이 세션은 대한민국, 일본, 필리핀, 스리랑카 등 아시아 국가에서 WPS 국가 행동 계획(NAPs)의 개발, 이행, 모니터링에 대한 깊이 있는 식견을 갖춘 전문가들과 지난해 채택된 ASEAN WPS 지역행동계획(ASEAN WPS Regional Action Plan) 관련 전문가들이 한 데 모인 자리입니다. 패널리스트들은 우수 사례와  교훈을 논의하고, 아시아 및 그 외 지역에서 WPS 이행을 촉진하기 위한 향후 협력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좌장

노룰 라쉬드  유엔여성기구(UN Women) 아태지역사무소 거버넌스·평화·안보 정책고문

패널

로도라 바바란  아세안사무국 인적개발국장 (*화상 참여)

마리아 빅토리아 발레자  여성 평화구축가 글로벌 네트워크(GNWP) 대표

료코 요나미네  여성·평화·안보 분야 젠더전문가(일본 오사카 조가쿠인대 박사과정)

윤지소  한국여성정책연구원(KWDI) 국제협력센터장

특별 세션

이 세션을 통해 미얀마에서 지속 가능한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에 있어 젠더 관점 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패널리스트들은 미얀마 내외에서 여성들이 평화의 촉매로 어떻게 활동할 수 있는지 모색하고, 미얀마 국민의 이익을 위한 평화적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여성의 참여를 촉진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또한 국제 사회가 여성 평화구축자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지원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습니다.

좌장

신혜수  유엔인권정책센터(KOCUN) 이사장

특별연사

줄리 비숍  유엔 사무총장 미얀마 특사

패널

크리스틴 아랍  유엔여성기구(UN Women) 아태지역사무소장

이양희  국제아동인권센터(InCRC) 이사장

리처드 호세이  국제위기그룹(ICG) 미얀마 선임 자문관

메이 사베 퓨  Gender Equality Network 디렉터 (*화상 참여)

전혜경  유엔난민기구(UNHCR) 아태지역국장

청년세션

이 세션에서는 청년 대표들이 중심이 되어 WPS 의제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공유했습니다. 패널리스트들은 여성의 평화 및 안보 분야 참여를 촉진하고, WPS 의제를 더 효과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신흥 기술(new and emerging technologies) 활용의 혁신적 전략을 논의했습니다. 또한 이 세션을 통해 향후 25년 동안 변화하는 분쟁과 안보 도전에 맞추어 WPS 의제가 발전할 수 있도록 청년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좌장

에밀리아 한눅셀라  유엔 청년평화안보(YPS)팀 선임 담당관

패널

누르 아지자흐  Rohingya Maìyafuìnor Collaborative Network 디렉터

하제르 샤리프  Together We Build It 공동 창립자

파슈타나 두라니  LEARN Afghanistan 이사

김유빈  2024년 외교부 군축비확산 청년사절

국제 청년 공모전

여성, 평화, 안보(WPS) 의제의 현지화를 통해 평화와 안보에서 여성의 역할 촉진
에페토보르 스테파니 에페보투 & 카디시 은두디 올리세 (나이지리아)

존재, 홍보 및 보호: 평화와 안보에서 여성을 발전시키는 세 가지 기둥
서희원 (대한민국)

WPS 재구상: 세계 평화와 안보의 새로운 시대를 형성하는 여성 역량 강화
하니파 야스민 아티라 & 라자흐라 루구니타 하시아나 (인도네시아)

피해자에서 개척자로: 평화와 안보에서 여성의 역할 연결
파히라 아르디니 푸트리 & 파리즈 엘다카 (인도네시아)

여성과 평화: 25년간의 활동
드위 이바 피트리아나 & 트리 이바 피트리아니 (인도네시아)

평화의 꽃길 위를 나는 안보리 1325호
임규리 (대한민국)

누구세요?
응우옌 히에우 히엔 (베트남)

평화를 위한 꿈의 직조자 — 여성
모 한 & 린 수황 (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