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주제

2025 AWP

유엔 여성·평화·안보(WPS) 의제 25주년 및 청년·평화·안보(YPS) 의제 10주년

<여성·평화·안보(WPS) 25주년: 미래를 위한 우선순위와 혁신>

대한민국은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이니셔티브를 통해 여성·평화·안보(WPS: Women, Peace, and Security) 의제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 이니셔티브는 (1) 국제 평화 및 안보 분야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강화하는 연례 회의 개최, (2) 분쟁 지역의 여성을 위한 인도적 지원 및 개발협력 지원이라는 두 축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올해 11월, 대한민국 외교부는 “여성평화안보(WPS) 25주년: 미래를 위한 우선순위와 혁신(Priorities and Innovation for the Future)”을 주제로 제7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를 개최합니다. 올해는 국제사회가 갈수록 격화되는 분쟁과 군사화, 축소되는 시민 공간, 중재 기회의 감소, 그리고 WPS 의제에 대한 저항 심화라는 도전적 환경 속에서, 기념비적인 유엔 안보리 결의 1325호(UNSCR 1325) 채택 25주년을 맞이하는 해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동안 대화와 지식 공유, 그리고 혁신의 중요한 플랫폼으로 기능해온 AWP 회의는 25주년을 넘어 WPS 의제를 어떻게 보호하고 발전시킬 것인지에 관한 국제적 논의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특히 제7차 AWP 회의는 다양한 행위자들을 한자리에 모아 인공지능(AI)과 사이버 기술 시대의 WPS 의제 발전을 위한 혁신적 접근법 탐색, 세대 간 리더십과 학습에 관한 통찰 교류, 분쟁 관련 성폭력 피해 생존자가 평화 구축·회복·정의 실현 과정에서 수행하는 핵심적 역할의 강화 등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다채롭고 풍성한 프로그램을 통해 이번 회의는 지난 25년간의 주요 성과를 기념하는 동시에, 향후 WPS 의제를 이끌어갈 전략적 우선과제와 혁신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2025년 10월, 국제사회는 유엔 안보리 결의 1325호(2000)의 채택 25주년을 기념하게 됩니다. 지난 25년간 WPS 의제는 아홉 차례의 후속 결의안과 수백 개의 국가행동계획에 힘입어 견고한 규범적·정책적 틀로 발전해왔습니다. WPS 관점은 평화 활동, 인도적 대응, 책임 규명 메커니즘 전반에 통합되어왔으며, 이러한 성과는 수십 년간 전 세계 여성단체와 여성 평화활동가들이 꾸준히 펼쳐온 헌신적 옹호와 집단적 노력의 결실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규범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급변하는 오늘날의 세계에서 WPS 의제의 실행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분쟁의 증가와 인도적 수요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지정학적 경쟁과 양극화로 인해 의미 있는 대화와 중재의 공간은 오히려 축소되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에서 하이브리드 전쟁에 이르기까지 평화와 안보에 대한 위협은 결의안 1325호의 입안자들이 예상할 수 없었던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플랫폼을 포함한 신흥 기술은 전쟁과 평화 구축의 환경을 정책결정자들의 대응 능력을 훨씬 뛰어넘는 속도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한편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여성 평화활동가, 인권옹호자, 인도주의 활동가들은 자금 감소, 축소되는 시민 공간, 그리고 WPS 의제 자체에 대한 반발 증가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UNSCR 1325의 25주년은 그간 쌓아온 성과를 반추하고 WPS 의제가 현안에 대응하면서도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하게끔 보장해야 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됩니다. 제7차 AWP 회의는 전략적 성찰과 협력적 대화를 위한 장을 제공하고, 두 가지 핵심 우선과제에 초점을 맞추고자 합니다.

첫 번째 우선과제는 신흥 기술이 점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시대에 WPS 의제를 증진할 혁신적 경로를 모색하는 것입니다. 인공지능과 디지털 도구는 여성 보호와 평화 구축 활동을 강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지만, 동시에 디지털 감시, 허위정보, 알고리즘 편향, 온라인 기반 성폭력 등 반드시 완화해야 할 위험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환경은 참여, 보호, 예방, 구호 및 회복이라는 네 가지 핵심 축 전반에서 WPS 의제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이행할 것인지에 대한 재고를 요구합니다.

두 번째 우선과제는 WPS 의제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세대 간 리더십과 학습을 촉진하는 것입니다. 세대 간 접근법은 오늘날의 도전요소에 대응하기 위해 기성세대의 소중한 경험과 젊은 세대의 신선한 시각 및 디지털 친숙성을 결합합니다. 젊은 세대의 의미 있는 참여와 여성 청년 평화활동가들에 대한 투자는 WPS 의제가 향후 25년간 계속해서 적실성을 유지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WPS 의제 이행 성과 및 교훈 점검, 지역 여성단체의 효과적 사례 공유, 지속·확대 방안 모색

신흥 기술이 분쟁 역학과 평화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 검토, 기술 개발·활용·거버넌스에 WPS 관점 반영 전략 탐구

향후 25년간 WPS 의제 발전을 위한 청년들의 열망과 요구 조명, 세대 간 리더십·학습 촉진을 위한 우수 사례 공유

분쟁 관련 성폭력에 대한 피해자 중심 접근 우수 사례 교류, 평화 구축·회복·정의 과정에서 피해자 역량·리더십 강화 전략 논의